|
표준어가 아닌 것은 모두 방언이다.
②(나):과학 지식에 대한 지식인들의 무지와 무관심은 버려야 한다.
③(다):기억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성과 시간을 들여 애를 써야 한다.
④(라):폭포수는 자연이 만든 물줄기이고, 분수는 인공적이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로 삼는다.
ex) 가리→갈비, 미뜨리다→밀뜨리다, 수지→휴지 등
다만, 어원 의식이 남아 있어 그쪽 형태가 쓰이는 것들은 그 짝이 되는 비어원적인 형태보다 우선권을 줄 것을 다룬 항이다.
제6항 의미를 구별함이 없이, 한 가지 형태만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어원적인 형태보다 우선권을 줄 것을 다룬 항이다.
① \'휴지\'가 그 대표적인 예로서, 한자어 \'休紙\'에 대한 의식으로 종래 표준어로 인정되었던 \'수지\'보다 널리 쓰이게 되어 이번에 \'휴지\'만을 단일 표준어로 인정한 것이다.
② 같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로 삼은 것이다.
다만, 어원적으로 원형에 더 가까운 형태가 아직 쓰이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 어원 의식이 남아 있어 그 쪽 형태가 쓰이는 것들은 그 짝이 되는 비어원적인 형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200원
- 등록일 2012.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로 삼은 것이다. 다만, 어원 의식이 남아 있어 그쪽 형태가 쓰이는 것들은 그 짝이 되는 비어원적인 형태보다 우선권을 줄 것을 다룬 항이다.1. \'휴지\'가 그 대표적인 예로서, 한자음 \'休紙\'에 대한 의식으로 종래 표준어로 인정되었던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1.0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