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 통사론 (민음사)
김석득 1970, 시킴변형 구조와 공기관계, <한글> 146 (한글학회)
1971, 국어구조론-피동 및 사동접미사의 공존관계와 변형구조 (연세대출판부)
1979, 국어의 피,사동 <언어> 4-2, (한국언어학회)
1987, 시킴법과 입음법 <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04.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의 국어학
음성과 음운
음소
운소
최소 대립쌍
상보적 분포
자음및 모음체계
음운자질
음운현상
음운현상분류
형태소
단어
합성어
통사적, 비통사적 합성어
형태음운론
파생어
접미사 품사변화
합성 후 파생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7.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과 종결어미의 형식이 매우 다른데, 이 글에서는 존대법과 사동법의 문법 형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존대법에서의 특징은 중세국어 문헌이지만, 근대국어적인 모습을 띤다는 것이다. 중세국어에서는 주체존대법, 상대존대법, 객체존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는 분리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3> 통사적 사동법
통사적 사동법이란 ‘-게 하-’ 등의 통사론적 구성에 의하여 사동법을 실현하는 방법이다. 즉, 내포 어미에 의한 내포문이 상위문 동사에 내포된 구성으로 사동법을 실현한다. 이러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적으로 높이는 데에는 조사와 어미등을 사용하고 어휘적으로 높이는 데에는 어휘를 사용한다. 국어 높임법의 체계는 기본적으로 문장과 발화상황에 등장하는 화자, 청자, 주체, 대상의 사이에서 결정된다. 그 관계는 나이나 지위등 계층적
국어문법론 픔사, 형태소 단어형성, 국어문법론정리(형태소, 픔사, 단어형성, 문장의 짜임, 높임법, 종결법, 사동법, 피동, 부정법, 지시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