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師說), 잡설(雜說), 주무숙(周茂叔)의 애련설(愛蓮說) 등이 대표적,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시대 이규보의 경설(鏡說), 슬견설( 犬說), 이옥설(理屋說)이 최초로 보이며, 조선시대 강희맹의 훈자오설(訓子五說), 권호문(權好文)의 축묘설(畜描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5.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라는 경지가, 플롯이전에 문체에 구현되고 있는 듯한- 이 역시 감탄을 금치 못한다. ▶한 유
▶한유의 고문운동
<원문 감상하기>
▶ 師 說
▶師說(사설)의 주제
▶어구 및 어법풀이
▶심화 자료
▶한유의 사설에 대한 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古之學者는 尊Ⅰ師 如君父니라.
(옛날의 배우는 사람들은 스승 존경하기를 임금이나 아버지처럼 하였다.)
如 : ~와 같이(비교형)
주술목보 확장구조 :'주어+서술어+목적어+보어'의 기본 구조에 수식어가 붙은 구조이다.
ex) 孝子는 揚Ⅰ名 於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古之學者爲( ) 今之學者爲( )
*或曰 以德報怨 何如 子曰 何以報德 以( )報怨 以( )報德
*子曰 莫我知也夫 子貢曰 何爲其莫知子也 子曰 不怨( ) 不尤( ) 下學而上達 知我者其天乎
<衛靈公第十五>
*子曰 可與言而不與言 失人 不可與言而與之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古之學者爲己 今之學者爲人(옛날에 배우고자 하는 사람은 자기 자신을 위하여 공부하였으나 오늘날 배우는 사람들을 다른 사람을 이기기 위하여 공부한다.)
여기서 위기지학이란 자신만을 위해 공부하는 것을 뜻하는 게 아니다. 자기의 출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