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주의 권력 계승론과 북한의 후계자론
3. 강요된 전시체제와 계속혁명의 요구: 1967~74
4. 김일성주의의 공식화와 지도자의 길: 1974~78
5. 우리식 사회주의와 김정일 혁명역사의 창조: 1978~82
6. 계승의 완결과 새로운 도전
7. 결론: 수령제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령을 위해 자신의 몸을 희생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북한의 특징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5. 새로운 문제 제기
1) 김일성과 김정일 사이에 권력이 이양되는 시점을 1982년이라고 말한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후계자로서의 역할을 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령인 김일성은 상징적인 존재였고 김정일이 실질적인 권력자의 위치에 있어서 가능한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김일성의 지시는 영도, 김정일은 지도라고 지칭하는데 사실상 실질적인 권력은 어느 쪽에 있었는지 혹은 언제부터 김정일이 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권력 계승작업은 큰 무리없이 진행됐다는 점에서다. 김정일이 사망한 달 군 최고사령관에 임명된 김정은이 지금까지 별다른 탈 없이 리더십을 발현하고 있지만 그 내부에서는 어떠한 이벤트들이 전개되고 있었을지 상상하기 쉽지 않다. 하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권력을 물려받으 것이 아니고 우선 김일성과 혁명 1세대에 의해 후계체제의 확립이 시급함이 인식되었고 조직지도부와 선전선도부를 장악한 김정일은 지도자의 자질을 북한의 사회주의건설과 경제건설에서 충분히 보여주었다는 생각을 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