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진 근로자 외의 자를 취업하게 하여서는 아니된다(산안47). I. 의의 및 논점
II. 작업환경 측정
III. 건강진단
IV. 역학조사
V. 건강관리수첩
VI. 질병자의 근로제한
VII. 유해·위헙작업의 근로시간의 제한
VIII. 자격 등에 의한 취업제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건에 관한 사항을 정할 수 있으며, 산업재해예방 및 산업재해가 발생한 경우의 대피방법 등 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에 대하여 협의하여야 한다. I. 의의 및 논점
II. 관리의 주체
III. 안전·보건 협의체 및 안전·보건 노사협의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안법 해설』, 중앙경제, 2019.
하갑래, 『근로기준법』(전정 제31판), 중앙경제, 2018.
강선희, 사망사고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의 형사책임, 노동법학, 2012.
최영식, 2017, 승강장안전문 유지보수 종사자가 지각하는 고용불안이 조직몰입과 안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1.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건법
1) 산업안전보건법상의 규제
2) 사업주의 형사처벌 문제
Ⅹ. 향후 정책과제
1. 노동자 건강에 대한 정부 인식 변환이 우선임
2. 산재보험 및 예방기금의 대폭적인 확대
3. 산재예방사업 재정 확대
4. 교육 등 실질적인 예방사업 강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7.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건법상의 보호
산안법 제44조 제1항에서는 노동부 장관은 건강장해를 발생할 우려가 있는 업무에 일정기간 이상 종사한 근로자에 대하여 건강관리수첩을 교부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특정작업이직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것이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