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법
34. 4
35. 1
36. 비변사
37. 5군영
38. 4
39. 5
40. 1
41. 3
42. 1
43. 1
44. 3
45. 영정법
46. 영정법
47. 2
48. 1
49. 3
50. 2
51. 5
52. 1
53. 2
54. 2
55. 2
56. 3
57. 5
58. 1
59. 4
60. 4
61. 대동법
62. 공인
63. 5
64. 5
65. 전정: 60말 군포 3필
66. 4
67. 5
68. 5 * 영조의 업적
69. 규장각
70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양에서는 추분이후 대설까지를 가을로 보고 있다. 이로 보아 서양역법에 따르면 대설 후 반달 지난 다음, 즉 동지부터 겨울이 되는 셈이다.
동지(冬至)
24절기의 22번째 절기, 대설 다음의 음력 동짓달, 양력으로는 12월 22, 23일경이 되며 태양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고 강조했고 결국 강희제는 Verbiest를 축으로 한 선교사들의 서양 천문학을 근거로 한 역법을 택하게 된다.
4-4. 강희제가 주도한 천문 관측의 공정성.
앞의 천문 관측 대결에서 선교사들이 더 정밀하고 더 우월한 기술을 써서 이긴 것일까? 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양인의 조선발견
2. 조선인의 서양발견
3. 두 갈래의 대청인식
4. 서양의 과학에 대한 조선인의 인식
1) 자연관
2) 천문역법과 과학
3) 세계지리
4) 수학
5) 의학
5. 실학사상과의 연관 문제
1) 세계관과 우주관의 변화
2) 역사 인식의 변화
3)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법은 천상에 잘 맞는 우수한 것이었으나 시행된 지 365여 년이나 지나서 혼효중성의 전차가 조금씩 틀려지고 주천의 수가 이미 찼기 때문에 마땅히 개력하여야 했던 차에 서양 역법이 때마침 나타나서 그 좋은 기회가 되어 병자-정축간(1636-1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8.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