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흥사(大興寺)
♠ 녹우당(녹우당)
♠ 송광사(松廣寺)
♠ 쌍계사(雙磎寺)
♠ 화엄사(華嚴寺)
♠ 연곡사(鳶谷寺)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송광사의 하사당을 1450년으로 추정하고 있어 비슷한 시기라는 점이 흥미롭다.
(참고)
송광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7년(867)에 도의선사가 처음 세웠지만 대부분의 건물이 허물어져 고려 중기 보조국사가 제자들에게 당부하여 다시 지었다. 지금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영관을 다시 한 번 구경하고 대웅전에도 다시 한 번 눈여겨 보았다. 송광사를 뒤로 한 채 나오면서 세월각과천추각도 다시 한 번 유심있게 보고 다리 밑에 걸린 엽전 두닙을 보면서 방긋 웃었다. 친구들과 내려 오면서 다시 한 번 꼭 와서 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4.07.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송광사
1. 송광사의 한국 불교에서의 위치
2. 보조국사 지눌의 삶
정혜결사의 정신
3. 송광사의 배치와 건축
송광사의 창건과 배치
송광사의 건축
§운주사
1. 운주사를 누가 무엇 때문에 세웠을까?
2. 운주사의 배치
3. 운주사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송광사를 근본도량으로 삼아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다. 즉 보조국사의 선(禪)과 교(敎)를 아우르는 것과 선정(禪靜)과 지혜(智慧)를 함께 닦아야 한다는 것, 각기 능력에 맞는 수행을 존중한 점 등의 정혜결사(定慧結社) 정신이 오늘날까지 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