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급가능
누계 적립율
80%
75%
71%
예2) 매월 소득이 500천원인 수급자가 6월 370천원, 7월 350천원, 8월 300천원을 자립적립금으로 저축한 경우 → 누적저축액(1,020천원)/누적소득액(1,500천원) < 70% 이므로 9월 생계비 지급제외(이 경우 9월에 380천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급자
1. 보장시설 수급자 직업활동의 활성화
1) 보장시설의 장
2) 수급자
3) 보장기관의 장
2. 근로소득의 적절한 관리
3. 사회복귀의 촉진
4. 기본원칙
5. 자립적립금 인정요건
6. 자립적립금 조성촉진 방안
1) 일정비율 이상의 자립적립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급자유인을 위한 소득공제제도와 자립적립금제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급여방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EITC 제도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2003
여유진, 이현주 EITC 도입가능성에 대한 고찰, 한국보건사회연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립적립금제도 등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2. 개선방향
(1) 수급자 선정 기준의 완화
현행 재산기준을 상향조정하고, 일정범위 이하의 주거용, 생계형 자산은 소득환산대상에서 제외하고, 금융재산과 기타 자산의 소득환산율을 현실화하도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립준비적립금, 기초생활보장기금, 실업극복기금 등과 같은 자활지원 관련 기금들을 사회연대은행에 위탁하거나 연계시켜 운영함으로써 기금의 효율성을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이미 수 많은 민간 위탁 사업을 통해 자활 사업 및 사회적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1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