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꽃을 보는 것은 지(知)에 속하고 아름다운 꽃을 좋아하는 것은 행(行)에 속한다. 그런데 아름다운 꽃을 보았을 때는 이미 좋아하는 것이지 먼저 보고 난 뒤에 또다른 마음이 있어서 좋아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이 왕수인이 지는 행의 시작이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인(手印)
불교에서 불(佛)보살의 내증(內證:깨달은 진리) 본서(本誓:서원) 등의
덕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으로 나타내 보이는 외상(外相).
앙련(仰蓮)
불교 미술에서, 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무늬. ↔복련(覆蓮).
안상(眼象)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인문'에서 남녀가 드나드는 문이 다르고 문의 높이도 달라 남녀유별. 남녀차별을 강조했던 조선후기 사상을 엿볼 수 있었다. 한 가지 재미있었던 점은 사랑채와 안채가 겉에서 보기에 담장으로 막혀 있었으나 방안에서 보면 방문을 통해 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0.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인'의 글쓰기」,『창작과 비평』, 1996, 여름.
서경석, 「열린 사회를 향한 글쓰기」,『자전거 도둑』, 강, 1996.
서영채, 「이야기꾼으로서의 소설가」, 『문학동네』, 1997, 가을.
신수정, 「추억은 무엇으로 단련되는가」,『문학동네』, 1996,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4,300원
- 등록일 2005.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꽃을 보는 것은 지(知)에 속하고 아름다운 꽃을 좋아하는 것은 행(行)에 속한다. 그런데 아름다운 꽃을 보았을 때는 이미 좋아하는 것이지 먼저 보고 난 뒤에 또다른 마음이 있어서 좋아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이 왕수인이 지는 행의 시작이요,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