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전의 선정
3. 고려 처용가의 형성과정
3.1 「고려사」에서 나타나는 처용희
3.2 고려 처용가의 형성시기
4. 고려 처용가 분석
4.1 화자에 따른 내용 분석
4.2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내용 분석
4.3 고려 처용가의 무가적 특성
5. 결론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용가>와 고려가요 <처용가>의 비교
① 작품 해석
② 향가 "처용가"와 고려가요 "처용가"
③ 속요 <처용가>의 처용 형상 -속악가사의 확립과 처용전승
2) 이제현(李齊賢)의 <소악부>와 『고려사』「악지」의 처용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교문학회
김병철(2002), 도깨비설화 연구 : <도깨비를 이용해 부자되기> 형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박기용(2011), 한국 도깨비 형상 연구 : - 중국 도깨비 설화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서희정(2005), 도깨비 설화를 활용한 한국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태사장절공유사」에 제작동기와 함께 실려 있다. 그밖의 창작경위에 관해서는 <고려사>권 14, <명신행적>, <대동운부군옥> 등에 간략하게나마 실려 있다고 한다. 따라서 작품이 신라시대에 지어졌으며 「삼국유사」에 실렸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4.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생 나신 100돌 기념 : 고려 처용가의 (處容歌) 해석」, 『동방학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5, p179-180. 1. 서론
2. 신라 <처용가>의 내용
1) 원문과 해석
3. 고려 <처용가>의 내용
1) 배경
2) 배경설화
4. 두 <처용가>의 비교
5. 결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6.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