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7건

양금신보>> 편찬연대 : 조선 중기(1610년) 저자 : 양덕수(梁德壽) 1610년(광해군 2) 양덕수(梁德壽) 편찬한 거문고 고악보이다. 엮은이가 임진왜란을 피하여 남원에 갔다가 임실현감인 친구 김두남을 우연히 만났다. 김두남은 양덕수에게 금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양금신보}의 \'요사이 연주되는 대엽의 만 중 삭은 모두 정과정의 삼기곡에서 나온 것이다\'라는 글에서 확인된다. 아울러 만대엽이 조선전기에 나타난 새로운 음악형식의 성악곡이었으며, 5장 형식으로 된 만대엽은 중대엽의 형식과 같다. 이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양금신보」- 줄풍류 음악 (양반들이 즐기던 민간의 풍류방음악) 1641 「이수삼산제불금보」- 줄풍류 음악으로 완전히 정착 1741 「한금신보」- 선율변주, 반복, 여러곡으로 분할이 일어남. 1779 「어은보」- 현행 중령산 최초 등장 19C초 북학파의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양금신보 등에도 있지만, 악학궤범에서 이미 쓰이고 있다. ※현금 지법 ┗(挑) : 랭(양청) ┛(勾) : 랭(양청, 안현) ┃ : 겹술(유현, 무현, 대현, 괘상청에서 멈춤) ━ : 겹술(유현, 무현, 대현, 괘상청 이하까지) (左) : 외술(하나 현을 치는 것)<바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양금신보> 에 보면 [시용만중삭 개출어정삼기회중] 이라 하여 느림, 보통, 빠름의 삼체는 이미 고려때 일명 [진작] 으로 이르던 [정과정곡]에 연유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가곡] 의 <만대엽 <중대엽> <삭대엽>, [영산회상] 의 <상영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