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룩 흘리면서 우는 것.
之, 如哭其子; 少者哭之, 如哭其母. 彼其所以會之, 必有不 言而言, 不 哭而哭者. 是遯天倍情, 忘其所受, 古者謂之遁天之刑. 適來, 夫子時也; 適去, 夫子順也. 安時而處順, 哀樂不能入也, 古者謂是帝之懸解
하늘의 속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1.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모두 선인(先人)들이 귀중하게 여겨 자주 말하던 것들이다 내편(內篇)
1. 소요유(逍遙遊; 거닐 소, 멀 요, 놀 유)
2. 제물론(齊物論)
3. 양생주(養生主)
4. 인간세(人間世)
5. 덕충부(德充符)
6. 대종사(大宗師)
7. 응제(應帝)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생주(養生主)
2) 인간세(人間世)
3) 대종사(大宗師)
소요유‘,제물론의 두 편에서 상대적 세계를 초월해야 할 논리를 설명한 장자는 그렇다면 어떻게 살아야 하는 것일까에 대한 궁리를 구체적으로 이야기 하려 한다. 그것이 제3편양생주(養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생주>(養生主) 인간의 육신이라는 것은 한갓 부수물일뿐, 생명의 근본, 곧 주인은 될 수 없으며, 이런 의미에서 양생주한 생명이 근본이 되는 자연의 본성을 기르는 것이라 풀이된다.
제 4편 <인간세>(人間世)인간세란 사람이 살아가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생주>(養生主) 인간의 육신이라는 것은 한갓 부수물일뿐, 생명의 근본, 곧 주인은 될 수 없으며, 이런 의미에서 양생주한 생명이 근본이 되는 자연의 본성을 기르는 것이라 풀이된다.
제 4편 <인간세>(人間世)인간세란 사람이 살아가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