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직공도에서 ‘晉末’이라고 표현한 시점과도 그다지 어긋나지 않는다. 참고로 삼국유사 권3의 ‘阿道基羅’조에 보면, “梁唐二僧傳 及三國本史皆載 麗濟二國佛敎之始 在晉末大元之間”이라는 구절이 있다. 太元은 東晉 孝武帝의 연호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직공도에서는 실제로 백제의 요서영유 사실을 낙랑이 행한 것으로 기록하였다. 실로 백제의 요서영유를 낙랑과 대방으로 이해하면 위대이래 북조에서 형성된 백제와 고구려에 대한 인식을 \'백제왕=대방군공\', \'고구려왕=요동군공\'으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잘 보여주고 있다.
또 백제가 중국과 활발한 교류를 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양직공도의 백제사신의 모습을 볼수가 있다. 양직공도는 양나라의 원제에게 조공을 바치러온 외국 사신들을 그린 그림이라고 할 수가 있다.
또 신라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2.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 대방인이 새로운 삶의 활로를 찾아 백제로 내려왔다. 이들이 백제에 와서, 중국과의 외교업무나 중국 문물 수입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리라고 쉽게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백제는 이들을 매개로 과거 낙랑군, 대방군이 가지고 있던 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려와의 전쟁이었던 것으로 해석.
《통전》: 백제는 요서지방을 영유한 후 처소를 유성과 북평 사이에 둠.
(낙랑이 요서 이동 후 위치하던 지역)
* 근거
《양직공도》‘진말순려략유요동 낙랑역유요서진평현’ ‘낙랑’이 요서영유의 주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