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어 품사 동사
1. 동사
1) 동사 + 동사
たべる(먹다) + すぎる(지나치다.) = たべすぎる(과식하다.)
つかむ(끼다.) + だす(꺼내다.) = つかみだす(끄집어내다.)
あてる(맞추다.) + はめる(맞추다.) = あてはめる(끼워 맞추다.)
かえる(돌아가다.) +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어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음절구조에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외래어의 수용에 따른 음절구조의 변화는 다름이 아닌 제약의 충돌(conflict)에 그 원인이 있는 것이며, 이것은 바로 수용어(영어, 독일
음절구조 고대국어, 최적성이론 한국어, [음절구조, 최적성이론, 고대국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불어, 프랑스어]음절구조와 최적성이론, 음절,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어에서 輕視할 수 없는 語法現象의 하나이다. 관형어 後置 문장 역시 중국어의 표현을 더욱 풍부하게 하는 데 그 역할이 있다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심재기(1979), 관형사의 의미기능, 어학연구 15-2
양동휘(1978), 국어 관형절의 시제, 한글162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어화가 있었을 것은 당연하다. ‘들앓\'(‘달걀\' <蒙山 44>), 머구 Ⅰ. 개요
Ⅱ. 복합사의 원리
Ⅲ. 중국의 복합사
Ⅳ. 중국의 복합어
1. 형용사
2. 동사
3. 명사
4. 부사
5. 의문사
6. 수사
Ⅴ. 중국의 복합동사
참고문헌
복합사 복합어, 중국 복합동사, [복합사, 중국, 복합사 원리, 중국 복합사, 중국 복합어, 중국 복합동사, 복합어, 복합동사]복합사의 원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원 앞에./
< 큰말 앞에./ > 작은말 앞에./ ↔ 상대 말 앞에./ * 풀이가 아닌 부분. 곧 용례나 고어 출전의 원문 앞에./ -- 바로 앞에 나온 올림말의 되풀이.
참고문헌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 두산동아
대한토목학회(1998),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