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어 품사 동사
1. 동사
1) 동사 + 동사
たべる(먹다) + すぎる(지나치다.) = たべすぎる(과식하다.)
つかむ(끼다.) + だす(꺼내다.) = つかみだす(끄집어내다.)
あてる(맞추다.) + はめる(맞추다.) = あてはめる(끼워 맞추다.)
かえる(돌아가다.) +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어에서 輕視할 수 없는 語法現象의 하나이다. 관형어 後置 문장 역시 중국어의 표현을 더욱 풍부하게 하는 데 그 역할이 있다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심재기(1979), 관형사의 의미기능, 어학연구 15-2
양동휘(1978), 국어 관형절의 시제, 한글162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어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음절구조에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외래어의 수용에 따른 음절구조의 변화는 다름이 아닌 제약의 충돌(conflict)에 그 원인이 있는 것이며, 이것은 바로 수용어(영어, 독일
음절구조 고대국어, 최적성이론 한국어, [음절구조, 최적성이론, 고대국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불어, 프랑스어]음절구조와 최적성이론, 음절,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문의 제문제』
을 바탕으로 신어가 자연적으로 발생한 것과 계획적으로 발생된 것들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다.
1. 자연발생적 조어
자연발생적 조어는 조어의 주체가 누구인지 분명하지 않으며 스스로 널리 퍼지는 힘을 가지는 특성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로서의 기능> <보어의 문제> 말고도 재고해야 할 것들이 많다. \'한자어의 짜임\'을 도식화 함으로써 발생하는 혼란의 문제, 허사로 취급되면서도 실사 구실을 하는 \'以\' \'於\' 등 모두 새로운 정의나 정리를 요구하는 문제들이다. 이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