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8건

외감이 중이내상이 경자면 선수분표리법으로 거풍위주하고 차용 기혈담법하야 조치요. 대개 외감이 위중하고 내상이 경증하면 먼저 반드시 표리법을 구분하여 풍사를 제거함으로 위주를 삼고 다음에 기혈 담법을 사용하여 조치한다. 內傷이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풍사를 소멸케 하고 화를 내림이 진짜 중요한 방법이다. 風寒外感者면, 溫以散之요. 풍한외감자면 온이산지요. 풍한을 외감하면 따뜻하게 하여 발산한다. 風熱은 有自內鬱者하고, 或外感이 久則鬱而爲熱하고, 或內因飮食과, 衣服過煖하야,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풍사초성자면 구의사삼 혹현삼으로 대지라 고해불구어한야라 하니라. 만약 폐열로 화기가 있고, 풍사가 초기에 왕성하면 모두 사삼 혹은 현삼으로 대용함이 의당하므로 기침에는 한기에 구애받지 않는다. 久甚에 還將 脾腎寧하라. 구심에 환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외감에 땀이 없으면 복령을 제거하고 시호가지 천궁 갈근 창출을 가미한다. 太陽이면, 加羌活, 防風, 藁本하고, 陽明이면, 加葛根, 升麻, 白芷하고, 少陽이면, 加柴胡, 黃芩, 靑皮하고, 少陰이면, 加芎, 歸, 黃連, 黃柏하고, 太陰이면, 加二朮, 柴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외감이 유사하니 다만 맥이 부삭맥이 아니고 때로 낫고 때로 회복한다. 肺主氣,抑鬱不舒,不時悲哭,則形容憔悴,雙睛陷而不潤, 폐는 기를 주관하니 억울함을 펴지 못하면 때에 맞지 않게 슬퍼서 곡하면 형용이 초췌하니 양쪽 눈이 꺼지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