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 잎사귀처럼 붙는 부분을 어미(語尾)라 하며. 어간을 줄기, 어미를 끝이라 부르기도 한다. 어간에 어미 ‘-다’를 붙인 활용형을 기본형(基本形)이라 하여 활용형의 대표형태로 삼기도 하고 사전의 표제형태로 삼아 용언의 뜻풀이에 쓰기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용에 대한 전통문법가와 생성문법가의 논의를 종합하여 각 이론의 특징을 논하라.
1> 어간의 불규칙성
1) ‘ㅅ’ 불규칙활용
(1) 학교문법 : \'\' 불규칙용언은 대부분 음장을 가지고 있으며, \'\' 규칙용언은 그 반대인 것으로 알 려져 있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한국어 용언 활용과 불규칙 활용의 개념
가. 한국어 용언 활용:
용언은 문장에서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인 동사와 형용사를 총칭합니다. 한국어에서 용언은 하나의 형태가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문법적인 기능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5.07.20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언활용과 성절성의 독창적 분석은 앞으로도 연구될 가치가 충분하다. 그리고 우리말을 바로 세우고 지키려한 그의 정신은 영원히 잊히지 않을 것이다.
*참고문헌
우리말의 수수께끼 , 박영준·시정곤·정주리·최경봉 지음 김영사
박승빈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용한다면, 어색한 신조어라든가 번역투와 같은 어휘의 무절제한 사용을 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라져 가는 한국적인 토박이 어휘의 재생과 활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우리의 언어생활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더 윤택해 질 것이다.
2.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