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디로 갈지 종잡을 수 없는 현실사회의 무방향성에 대한 제동력은 영원히 없어지고 말 것이다. Ⅰ. 유교의 우환의식
Ⅱ. [성학십도] 제진의 뜻
Ⅲ. 퇴계에 있어서의 우환의식과 [경]
-[성학십도] 서를 중심으로-
Ⅳ. 결언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
1-2. 학문수업
2. 율곡의 관직생활
3. 율곡의 사상
3-1. 율곡의 철학사상
1) 이기론
2) 심성론
3-2. 율곡의 정치, 경제사상
1) 정치사상
2) 경제사상
4. 율곡의 사제관계
4-1. 율곡의 사
1) 퇴계 이황
2) 휴암 백인걸
4-2.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8.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는 求仁의 실천의 적공을 통해서야 비로소 \"나는 천지만물과 더불어 일체\"라는 말을 구체적 경험으로 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상황적 실천과 단계적 노력 없이 외치는, 인류를 사랑한다는 외침은 결국 \"外物을 자기 자신과 동일시 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7.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가 말한 경은 본디 意志공부였다. 그러나 궁리와 거경이 별도의 공부가 아니고 모든 궁리의 공부에 거경의 자세가 있어야 하는 것이요, 거경에 궁리가 그 내용으로 자리잡아야 한다. 유자의 학문, 그들의 궁리의 대상이 기존의 유교경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향들이 각기 주기론, 주리론이라는 명칭을 얻게 된 것은 이황의 사단칠정론 이후의 일이다. 그리고 그 중의 주리론은 이황으로 사림의 철학이 되어 정통철학으로 군림하게 되었다. 즉, 사단칠정론을 둘러싸고 퇴계학파, 율곡학파나 주리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