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c 음가 추정
1. 쓰이지 않는 글자
(1) 「ㅸ」
<제자해의 설명>
“「ㅇ」을 입술소리 밑에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되는 것은, 가벼운 소리는 입술 을 잠깐 가볍게 합쳐서 목소리가 많기 때문이다.” 라는 말로써 알 수 있는 것은, [ㅸ]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두 울림소리이니, 따라서 [ㅿ]도 울림소리가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그 쓰임>
다음으로 우리말에 쓰인 예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ㄱ) 임자씨나 풀이씨 줄기의 끝소리[ㅅ]가 홀소리로 첫소리 삼은 씨끝이나 토씨가 이어날 때에 곧 홀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가추정과 체계재구를 위한 고대국어연구(2)를 위한 기초 작업을 정리한 논의이다. 크게 1부와 2부로 나뉘어 있는데, 1부에서는 연구방법의 기초, 차용어의 대응관계, 음운변화의 유형, 섭과 운목의 기초적 이해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2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가 추정 위해 고구려 한자음 연구
④ 음독표기와 석독표기의 대응으로 추정 가능한 고구려어 단어가 제공하는 바
- 고구려어 및 부여계 제어의 모습 추정 가능성
- 신라어, 백제어 및 한계 제어, 일본어, 알타이 제어와의 친족관계 결정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상이 되어 온 것으로, /ㆍ/의 음가 추정 및 소실 시기, 소실의 방향, 소실의 원인, 모음 조화와의 관계 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ㆍ/ 소실의 근본적인 원인을 국어사의 어느 시기에 있었던 모음의 대대적인 ‘추이’로 상정한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