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를 추가하여 구별할 수도 있다.
김대중(교수) [金大中] 생년월일
김대중(정치가) [金大中] 생년월일
김대중(정치가: 언론가) [金大中] 생년월일
아베마리아(구노)
아베마리아(슈베르트)
아베마리아(베르디)
그림 2 안내어로 동형이의어를 구별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놓고 본다면, 그 의미들 사이의 관계는 크게 유의미적이지 않다. ‘손’을 중심으로 보는 입장만 걷어내면, 씀씀이와 잔꾀가 과연 비슷하기라도 한가? 아무리 ‘손’에서 출발하였다 하더라도 언중이 ‘손’의 의미를 이미 확연하게 다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에게 필요한 것은 다의어의 다양한 의미습득과 동음이의어와의 구별이라고 보고 본 조에서는 ‘다의어학습’의 효과적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했다.
1. 다의어의 양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의미적 관련성을 파악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에서
예) * 시내 (개울) : 시내(市內), * 철(季) : 철(분별력) : 철(鐵)
4. 다의어와 동음 이의어의 구별
1) 다의어는 여러 의미 사이에 유사성이 존재하나, 동음 이의어는 의미 사 이에 전혀 관련성이 없고 소리만 같을 뿐이다.
2) 사전에서 단어를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3.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의어를 갖는 단어가 아닌 것은?
① 사슴 ② 쓰다 ③ 말 ④ 차다 ⑤ 달다
※ 다음 문장에서 밑줄 그은 말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 (자료5∼8)
(가) 기계를 고치다. (나) 병을 고치다. (다) 버릇을 고치다.
〈자료5〉위 문장들 속의 낱말 \'고치다\'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