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리적 이기이원론/이귀기천설>
1)리(理)
※절대리와 상대리의 구분
(1)절대리
(2)상대리
2)기(氣)
3)리기의 관계
<심성론>
1)성-본연지성/기질지성
(1)본연지성
(2)기질지성
2)사단칠정론
3)인심/도심
<수양론>
1)경의 의미
2)경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爲己之學)과 구인성성(求仁成聖)
(2) 이기(理氣) 존재론
(3)사칠(四七)논쟁-사단칠정(四端七情)론
(4)궁리(窮理)와 격치(格致)의 인식론
(5) 거경(居敬)의 수양(修養)론
(6)양명학 비판
Ⅲ. 결론
1. 이황의 평가
2. 느낀 점
Ⅳ. 참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3.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으로 말미암아 성에 이르는 것.
심론
-인심이 칠정이고 도심이 사단이 된다. -but 칠정이 곧 인심이고 사단이 도심인 것은 아니다(정은 발하여 나타난 것을 가리키며, 인심과 도심은 미발과 이발을 관통하여 작용하는 마음이기 때문)
-칠정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20.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리설을 전개시켜 나갔다고 하겠다. 1. 서론
2. 율곡의 철학 사상
1. 시기론
1)이기의 개념
2)이기의 관계
(1)이기지묘
(2)기발이승
(3)이통기국
2.심성론
1)본연지성과 기질지성
2)사단과 칠정
3)인심과 도심
3. 결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황의 사상
(1) 이기호발설(理氣互發設)(2) 주리론적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
◇ 퇴계 이황의 교육 사상과 교육
(1) 교육목적
(2) 교육방법
① 교육이념의 실현을 위한 수양법으로서의 경(敬)
② 입지(立志)
③ 수기(修己)
(3) 진리와 합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