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헌영과 김일성의 갈등
이정 박헌영 일대기 - 임경석 / 역사비평사 / 2004
역사비평2000년 겨울호, 한국사회주의인명사전 김단야 편
찢겨진 붉은 깃발 - 강덕 / 어문각/ 1990
윤해동 - 교차와 대립(박헌영 사상의 위상)
남로당사 - 하성수 / 세계/ 1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헌영, 홍명희, 김책, 최용건, 박일우,
정준택으로 구성한다.
(2) 국내의 모든 주권은 군사위원회에서 관장한다.
(3) 전체 공민, 일체의 주권기관, 정당.사회단체.군사기관은 군사위원회에서 결정한 지시
에 절대 복종해야 한다.
당시 김일성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헌영 활동
1). 제1기: 박헌영이 최초로 공산주의단체에 가입한 1920년 11월부터 1945년 8·15 해 방까지
2). 제2기: 1945년 8·15해방부터 1956년 7월 19일 박헌영이 북한에서 총살당하기까지 (남로당의 창당과 소멸)
5. 여운형,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헌영은 대단한 인물이었고, 한국 근현대사 최고의, 그리고 비운의 혁명가였다.
참고문헌
1. 해방 직후(1945.9-11) 정당협력운동의 실패와 이승만, 박헌영의 임정 견제
남광규, 한국국제정치학회 | 국제정치논총 | 2006 (PDF file / 22 pages)
2. 논문 :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문론총』,서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6
14) 최희연, 「심훈 소설연구」연대, 박사학위 논문, 1990
15) 강진호, 「특별기획프로그램/작가의 생가와 문학의 세계」, 『문화예술 96‘ 8』1996
16) 김구중, 「상록수의 배경연구」『한국언어문학 42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