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옳기 때문에 옳다. 의무주의적 성격이 있다. 칸트와 달리 버틀러는 옳은 행위 유발과 관련하여 가언적 조건의 효용성을 인정한다. 1)특수한 정념
2)자기애의 원리
3)자비심의 원리
4)양심
(1)양심의 정의
(2)직관주의
(3)의무주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11.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심은 이성의 발달과 더불어 일깨워지고 계발되지만, 일단 계몽된 양심은 신의 목소리 (the divine voice of conscience)로서 항상 진실되며, 오류에 빠지기 쉬운 이성을 진리로 인도한다. 둘째, 인간의 자기애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정의원칙은 관념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기애의 원숙한 형태인 양심의 근본원리이므로 이것이 학생의 양심을 인류애와 종교애의 차원까지 높여갈 수 있는 동인(動因)이 됨.
- 교사의 사랑, 곧 인류애와 종교애만이 학생을 그런 사랑에 충만한 자유인으로 되게 할 수 있다고 본 것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심
-인간의 행위를 촉발하는 동기에는 세 가지 차원이 있다.
①정념과 애착
:추구하는 외적 대상과 관련
:경우에 따라 자기도 모르게 좋은 행동을 촉발
:의식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리 대문에 이기적인 것도, 이타적인 것도 아니다.
②자기애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정하는 셈이다. 1. 사랑은 기술인가
2. 사랑의 이론
1. 사랑, 인간 실존의 문제에 대한 답1
2. 부모와 자식간의 사랑
3. 사랑의 대상
형제애
모성애
성애
자기애
신에 대한 사랑
3. 사랑과 현대 서양사회에서의 사랑의 붕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