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5건

字音의 無氣音의 有氣音化에 따른 變異로 볼 수 있겠다. 濁 : 탁 착 탁 直角 dj' k daku taku( oku) 韓國漢字音은 앞의 '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有氣音化하여 읽고 있음을 볼 수 있고, 일본한자음의 吳音은 중고음의 拗音性을 排除하여 반영하였고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08.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서울, 1997 2. 안병희,『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서울, 1992 3. 이성구,『訓民正音 연구』, 동문사, 서울, 1985 Ⅰ. 서 논 Ⅱ. 훈민정음과 해례의 의미 Ⅲ. 자음자의 제자원리 Ⅳ. 결 논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자음은[pt, ps, pts]와 [pk', pt']의 複子音으로 후기 中世 國語 硬音의 子音 音素體系字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본다. 9) 위의 語頭複子音들은 硬音化, 有氣音化, ㅂ設落의 세 類型으로 변천·발달하였다. 10) 이와 같은 언어 사실로 보아 15세기 中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5.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자음 색인(字音索引)을 보면, 음이 같은 한자가 수십여 자에 달하는 것도 있다. 문맥이나 뜻을 고려하지 않고 음(音) 중심으로 한자어를 구성하게 되면, 의도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말이 되거나 사전의 표제어에도 없는 억지 한자어가 되고 만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3.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자음이 더러는 [h-]음으로 발음되는 것도 있다(溪母之字或入於曉母). ③우리말에서는 [k\'-]음이 많이 쓰이는데 조선한자음에는 오직 \'?\'(쾌)자가 있을 뿐이다(國語多用溪母 而字音則獨?之一音而已). ④ 설두음과 설상음의 구별이 없다. ⑤ 순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