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228건

음이다. 훈몽자회의 '탁'은 漢字音의 無氣音의 有氣音化에 따른 變異로 볼 수 있겠다. 濁 : 탁 착 탁 直角 dj' k daku taku( oku) 韓國漢字音은 앞의 '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有氣音化하여 읽고 있음을 볼 수 있고, 일본한자음의 吳音은 중고음의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08.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음운론적인 연구에 있어서 특징적이라 할 만 것은 한자음과 지명에 대한 연구가 적지 않았다는 점이다. 특히 고대국어에 대한 다양한 관심과 그에 따른 다각적인 접근방법이 주목할 만하다고 생각되었다. 먼저 한자음과 관련하여 정경일의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한자음대로 표기하고 현대인은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東京: 도쿄/툐쿄/토오쿄오/동경 ※ 중국 및 일본의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두 가지 표기를 다 인정한다.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07.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음에서 [k\'-]로 발음되던 자음이 더러는 [h-]음으로 발음되는 것도 있다(溪母之字或入於曉母). ③우리말에서는 [k\'-]음이 많이 쓰이는데 조선한자음에는 오직 \'?\'(쾌)자가 있을 뿐이다(國語多用溪母 而字音則獨?之一音而已). ④ 설두음과 설상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음 창제 직후 문헌의 특징이며 그 이후에는 "、"과 같이 적힌다. 이 때 활자는 자음과 모음의 크기가 거의 같아서 현대의 글자와 비해 자음자모가 약간 커 보인다.   7. 일본에서의 중세국어 연구  일본에서 중세국어 개설서를 찾는 것은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