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건이 서역에서 가져온 품목 : 포도, 호도, 석류, 호초, 파, 참깨, 맨드라미
5 동의보감(허준) : 대산은 마늘, 소산은 족지, 야산은 달랑괴로 구분
4) 된장·간장
1 콩을 재배한 이후(초기철기시대) 담그기 시작 : 부여(만주)는 콩의 원산지
콩과 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0.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과 된장이 섞인 걸쭉한 장을 담갔다.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동이전>에, 고구려에서는 <장양(醬釀)> 이라 하여, 장담그기·술빚기 등의 발효성 가공식품을 잘하였다는 기록이 나오고, 고려시대까지는 된장에 관한 구체적인 문헌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4.0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 삭혀 두었다가 간장을 뜨고 남은 메주 건더기에 섞어 질척하게 치대어 담아 봉해 둔다.
된장에는 비린내를 없애는 교취효과(矯臭效果)가 있는데, 이것은 된장의 주성분인 단백질이 여러 냄새를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고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5.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 장담그기, 젓갈담그기 등[전승성]
5. 김치문화의 체계도
Ⅲ. 여러 가지의 채소절임음식 : 김치
1. 각국의 채소절임음식의 실체
2. 한국의 채소절임음식 : 김치
1) 고추
2) 고추가 사용된 배경
3) 소금과 젓갈
4) 김치의 지역성 : 새우젓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류 : 장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어느 가정에나 연중 비치한 기본품목은 간장, 된장 고추장이다. 장류가 발달하고, 장류는 장독대에 보관을 하였다. 장류는 한국음식의 간을 하므로 장의 맛이 음식을 맛을 좌우하여 장담그기의 행사와 좋은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