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소인 것이다. 따라서 자동사란 빈어를 가지지 못하거나 존재빈어나 장소빈어만 가질 수 있는 동사를 말하는 것이다.
3.어휘상의 분류.
중국어에서 동사가 가지고 있는 빈어가 체언(명사, 수량사, 대명사)일 수도 있고 용언(동사, 형용사)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1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3종류의 “있다
*장소+有+존재하는 것
*존재하는 것+在+장소
*장소+是+존재하는 것
2. <어떤장소>에 <사람,사물>이 있다에는 “有”를
*장소 + 有 + 존재하는 것
예)墻上 有 一 張 照片.
벽에 한 장의 사진이 있다. 1.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0.2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 영역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시간부사어, 장소부사어, 방편부사어 등을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시간부사어의 경우이다. 통사적 사동법은 이론적으로 사동 사건이 원인이 되어 피사동 사건을 일으키는 것이므로 사동 사건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04.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소인 것이다. 따라서 자동사란 빈어를 가지지 못하거나 존재빈어나 장소빈어만 가질 수 있는 동사를 말하는 것이다.
3.어휘상의 분류.
중국어에서 동사가 가지고 있는 빈어가 체언(명사, 수량사, 대명사)일 수도 있고 용언(동사, 형용사)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냈다는 생각이 든다. 이 이론을 접하기 전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들에 대해 실생활에서 이론을 적용하고 있는 모습을 종종 발견하고는 한다. 아르바이트 장소에서 윗사람이나 동료와의 의사소통에서 좀더 일치형의 모습을 갖춰야겠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