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인정신”, 범양사, 과학사상 제13호, 1995. 5, pp. 151 ~ 156
강만길, “한국의 장인”, 「공대학보」,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1985.3.
이효창, “조선시대 장인제도와 장인교육의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독일의 장인(Meister)제도
Meister (기능인력제도)
- 마이스터(직고의 우두머리), 거젠(직공),
레르링크(도제)의 신분제도가 이뤄진 13
세기 경에 확립된 직업훈련제도
1.직업훈련원 arbeitsschule(보통 3년제)
2. 장인(Geselle) – 공인기술자
3. 2년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2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은 장인(匠人)을 ꡐ목공이나 도공 등과 같이손으로 물건 만드는 일을 업으로 하는 사람ꡑ이라고 못박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관청이나 궁궐에서 쓰이는 물건을 숙련 기술자들로 하여금 제조하도록 했는데, 이들을 장인이라 칭했다.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4.05.2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