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8건

파스파 문자(정광 지음, 역락, 2012) 개정 한글 맞춤법 강의(이희승 등 지음, 신구문화사, 2015) 1. 서론 2. 본론 2.1 자모체계와 배열순서의 변화 2.2 사라진 글자(자음과 모음) 2.3 전탁음과 경음, 단모음과 이중모음 3. 결론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전탁음과 경음이 있다. 해례 중 제자해에 의하면 ‘ㄲ, ㄸ, ㅃ, ㅆ, ㅉ, ㆅ’은 전탁음에 해당하는데 전탁음이란 중국의 등운학(等韻學)에서 현대 언어학에서의 유성장애음(voiced obstruent)을 가리키는 용어이다(강옥미, 2003). 연구자들은 전탁음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1. <훈민정음> 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 2. 자음 1) 사라진 자음 2) 전탁음과 경음 3) 자음의 배열순서 3. 모음 1) 사라진 모음 2) 이중모음과 단모음 3) 모음의 배열순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경음(전탁음)과 단모음 및 이중모음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특히 현대국어의 단모음과 이중모음에 대하여는 앞으로도 많은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다. Ⅳ. 참고문헌 채완(1999), <훈몽자회>와 한글맞춤법, 새국어생활 제9권 2호 pp.19∼29, 국립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8.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경음으로 대립되는 초성체계가 『東國正韻』한자음에서 무성음:유기음:유성음으로 대립되는 자모표기로 사용되었다. 다음은 //과 業//, 그리고 慾/ㅇ/ 세 자모에 대하여 살펴보자. 이 자모들의 음가가 무엇이고 또 어떻게 설정되었는지, 또한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