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자료 및 출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9.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ㅕ’가 [ㅓ]로 발음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실제 구개음 ‘ㅈ, ㅉ, ㅊ’ 다음에 오는 단모음과 이중 모음이 구별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백봉자. (1991).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교육한글, 4, 191-207.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7.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글, (284), 165-189.
2) 이기문. (1971). 훈몽자회 연구.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3) 채완. (1999). 『훈몽자회』와 한글 맞춤법. 새국어생활, 9, 19-30.
4) 한국방송통신대학 평생교육원. (200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 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7.08.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에서 조건에 따라 ‘ㅔㅓㅣ’의 단모음으로 발음나기도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훈몽자회>와 <한글맞춤법>에 나타난 자모체계를 배열순서, 소실자음과 모음, 그리고 경음(전탁음)과 단모음 및 이중모음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특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8.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음운론』, 태학사.
나찬연(2002), 『한글 맞춤법의 이해』, 도서출판 월인. 1) 서론
2) 본론 ①: <훈민정음>해례본의 자모체계
3) 본론 ②: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
4) 본론 ③: <훈민정음>해례본과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 비교 분석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