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다산과 그 시대』, 민음사, 1986
김남주,『사랑의 무기』, 창작과비평사, 1989
박태원,『갑오농민전쟁』, 깊은샘, 1989
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편,『정다산연구』, 한마당, 1989
송기숙,『녹두장군』, 창작과비평사, 1994
유홍준,『나의 문화유산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다산전서(丁茶山全書)’ 하권에도 수록되어 있다.
Ⅴ. 글을 마치며
지금까지 다산 정약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레포트를 쓰기 위해 조사하면서 정약용이 실학자였던 것뿐만 아니라 훌륭한 학자이자 교육자였으며 백성을 사랑하고 임금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7.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集傳本義集注章句之等, 以中興斯道, 其豊功盛烈, 又非漢儒之比."
하는 것도 성리학의 이러한 측면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다산은 천주교를 이해하게 되면서 성리학에서 멀어졌다기 보다 성리학의 일부 측면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재해석하
|
- 페이지 40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다산연구(丁茶山硏究)의 현황(現況) - 한치근(韓治劤) 외 13명 민음사(民音社)
* 茶山 丁若鏞의『民』의 觀念에 대한 硏究 - 이원악 석사논문
* http://blog.naver.com/lchw510/40052666833 네이버 블로그 1. 조선(朝鮮)의 민(民)사상
1) 퇴계(退溪) 이황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다산 연구, 한마당
목영해 외(2004), 교육의 역사와 철학, 교육과학사
이범직(1979), 조선전기 유교교육과 향교의 기능,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정대환(1992), 조선조 성리학 연구, 강원대학교 출판부
황의동, 한국의 유학사상, 서광사
홍이섭,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