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사승계법제의 성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정긍식, 「조선시대의 가계계승법제」 『법학』 51-2, 2010
지두환, 『조선전기 의례연구』 ,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최재석, 「조선시대의 양자제와 친족조직」上·下, 『역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8.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사승계인으로 삼고 입후를 취소하여 양자를 본가로 돌려보내었다. 그 이후 정당성이 논란이 되어 친자를 우선하되 양자는 돌려보내지 않고 중자로 삼았다. 이 후에는 친자가 태어났음에도 양자를 제사승계인으로 삼는 경우도 있었다.
입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위가 아니라 선택이 되면서 자녀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나 아들 선호가 많이 변화하였다. 1.서론
1.1 17세기 중엽 이전과 이후의 이데올로기
2.본론
2.1 서류부가혼
2.2 재산상속
2.3 제사상속
3.결론
3.1.가족가치와 가족의례의 변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1.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사승계를 통하여 이루어졌을 뿐이며, 호주승계를 통한 가계계승이라는 관습이나 제도는 존재하지 않았다. 호주상속은 원해 일본 무사계급의 상속제도
- 일제는 침략 후에 발간한 관습조사보고서에서 조선의 관습을 의도적으로 왜곡, 조선
|
- 페이지 4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승계 : 분묘에 속한 1정보 이내의 금양임야(禁養林野)와 600평 이내의 묘토(墓土)인 농지, 족보, 제구(祭具)의 소유권은 제사를 주재하는 자가 이를 승계한다(1008조의 3). 한국의 전통적인 제사관행을 유지하기 위한 규정으로서 제사상속적인 성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