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적인 반상(飯床)차림의 기
본 구조를 확립함. 1. 조선시대 식생활
?
2. 조선시대 상차림
- 반상종류
? - 의례상차림
3. 조선시대 식기류
? - 식사용 식기
- 조리용 식기
- 저장-발효용 식기?
4. 조선시대 식공간 특징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0.10.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시대에는 장유유서, 남녀유별 등 유교의 영향으로 인해 겸상을 하는 예가 극히 드물었으므로 소반의 크기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각 가정에는 여러 구의 소반을 치하였는데 특히 벼슬을 하거나 학문이 뛰어난 사대부의 집에는 항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대의 청동이나
은제품의 형태에서 벗어나 그 형태나 고려적인 아름다움으로 바뀜.
(초기의 상감청자류)-10c 후반강부터 종속문적으로 등장
모란당초문완은 내면의 주문양이 양인각 모란당초문
청자 양각당초상감시명 표형병
도자기 상감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대에 많이 제작. 귀족적임
백 자 : 희고 투명성이 있는 소지를 사용. 조선 시대에 많이 제작. 소박하고 우아한 멋이 있다.
상감기법 : 성형한 도자기의 표면에 무늬를 조각하고, 그 속에 적토나 백토로 메꿈.
<분청사기 연화무늬자라병-조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기류나 음식 등을 보관하는 장. 전통적인 찬장은 유기나 도자기로 된 무거운 식기들을 넣어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튼튼하게 만들어졌다. 주방가구로서 식기류를 포개어 올려놓는 선반(층널)만 있고 벽과 문이 없는 가구는 찬탁이라고
|
- 페이지 3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