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택리지 1권’ 102쪽
한양의 길과 골목이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원래 어떤 기준과 선에 따라 한양이라는 도시를 건설한 것이 아니라, 명당과 길지에 궁궐을 짓고 집터를 고른 다음에 큰길과 작은 길들을 만들었기 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14.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시대의 담배와 소비자의 폭
1. 폭넓은 소비
2. 조선시대의 담배
Ⅲ 조선사회 애연가와 담배에 대한 인식
1. 애연가(愛煙家)
Ⅳ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 담배의 도입과 유래
Ⅱ 조선시대의 담배와 소비자의 폭
1. 폭넓은 소비
2. 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시대의 풍수지리
1) 발달의 배경
2) 조선시대 풍수의 흐름
3. 조선시대의 풍수사
1) 풍수사란?
2) 풍수사가 되려면?
4. 비판을 피할수 없었던 풍수지리
5. 풍수지리에 대한 사고
1) 동서양 모두의 관점에서 보았던 지형
2) 과학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택리지』『해동잡록』
강만길, 『한국노동운동사』, 지식마당, 2004
국립국어연구원,『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김용섭, 『한국근대농업사연구』1(증보판), 지식산업사, 2004
김진영 校註, 『흥보전』, 민속원, 2005
류승주,『조선시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8.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택리지’의 일부분인데 조선시대 붕당정치의 변질된 모습과 부정적 측면을 잘 나타내어 주고 있다.
『북의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를 제외하고는 4색이 동남 5도에 나누어 살고 있는데, 오직 경상도만은 모두 예안의 이황의 학문을 종주로 삼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