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음성학』. 태학사, 2020.
남기심, 고영근. 『국어학개설』. 탑출판사, 2021. 목차
1. 서론
2. 존대의 보조사 '요'의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의 괴리
3. '여' 발음의 언어학적 배경과 확산 양상
4. 언어 규범과 현실 사용의 갈등 사례들
5.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5.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
저모음
a
/ㅕ/ → /ㅣ/
중국어에는 이중모음인 /ㅕ/ 모음이 없어 /ㅣ/ 모음과 비슷하게 발음하거나 /ㅑ/ 모음으로 발음하는 오류를 자주 범한다.
(12) 환영 [화닝] 명사 [밍사] 기차역 [기차약]
/ㅢ/ → /ㅡ/-/ㅣ/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2.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순
평순
원순
고
중
왜
워
저
*
와
*
‘y-이’와 ‘w-우/오’의 연결은 없다. 또 ‘으’는 반모음과 연결이 불가능하다. 이는 ‘으’의 음운론적 강도가 약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y,w/는 ‘위,외’와 연결되지 못한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요소가 폐음절어이고 후행하는 요소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일 때 선행어의 종성을 후행 단어 Ⅰ.서론
Ⅱ.본론
1.제주도 방언권의 이해
1-1.제주도의 개관
1-2.제주도 방언권의 구획
2. 음운적 특징
2-1. 음운 체계
2-2. 국어국문학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은 또한 미끄러지듯이 발음되는 소리라는 의미로 ‘활음’이라고도 부른다. 한국어의 경우 활음에는 y와 w가 있다.
4.3 이중모음
반모음은 각각 단모음과 결합하여 이중모음을 형성한다. y가 선행한 이중모음으로는 ㅑ, ㅕ, ㅛ, ㅠ, ㅖ, ㅒ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