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사물이 바로 전체 사물이며 전체 사물이 바로 한 사물이니, ‘一卽多, 多卽一’인 것이다. 조현규, 동양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참고문헌
조현규, 동양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장승구 외,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없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윤리사상
- 왕실 중심의 귀족화된 불교를 민중 불교로 전환
- 원융 사상(=화쟁사상) : '모든 종파 모든 사상을 분리시켜 고집하지 말고 보다 높은 차원에서 하나로 종합해야 한다.', 이들은 모두 일(一)이면서 다(多)이고, 다이면서 일의 관계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상의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4.
ㆍ 鎌田茂雄, <중국불교사>, 경서원 1985.
ㆍ 김학주, <노자와 도가사상>, 명문당, 1988.
ㆍ 한국국민윤리학회편, <사상과 윤리>, 형설출판사, 1994.
ㆍ 김곡치, 조성을 역, <중국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4.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상
Ⅲ. 동양윤리사상
1. 유학 사상 전개
1) 한나라
2) 위진 남북조 당나라
3) 송대
4) 명대의 양명학
5) 청대의 고증학(考證學)과 실학 사상
2. 도가 사상 전개
3. 불교 사상 전개
1)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의 분화
2) 대승불교
3) 세 종파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1.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교사상사에서 큰 발자취를 남긴, 가장 위대한 고승의 한 사람이다.
<참고문헌>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3.
조현규, 『한국의 윤리사상』, 중문, 2001.
조현규, 『동양윤리의 담론』, 새문사, 2006.
이정훈, 『포어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