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지한다면 청구의 포기를 할 수 없는 소송에 대하여 포기를 인정하는 것과 같은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Ⅳ. 結論
소의 취하는 뒤에 신소제기의 제약이 따르지 아니하며, 다라서 원고에게 큰 부담이 가지 않는 소송행위임에 비추어 소취하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복소제기의 금지
1)의의
2)요건
ㄱ)당사자 동일
ㄴ)청구의 동일
ㄷ)전소의 계속중에 후소를 제기하였을 것.
3)효과
4) 국제적 중복소제기
3.실체법상의 효과
1)시효의 중단
ㄱ)중단의 근거
ㄴ)중단의 대상
ㄷ)일부청구와 중단의 범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4.0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지의 전자게시판을 활용하여 공시하고 있다."
4) 효력
"잘못된 공시송달로 심리가 진행된 끝에 패소된 경우 송달받을 사람은 선택에 따라 추후보완항소 또는 재심을 제기하여 구제를 받을 수 있을 뿐이다."
"공시송달을 받은 당사자에게는
|
- 페이지 61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09.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제기 후의 조치
1. 보정명령(法254조)
2. 보정 후 소장제출시기의 소급여부
3. 소각하 명령
4. 즉시항고
5. 무변론판결(法257조)
Ⅵ. 중복소제기의 금지
1. 의의
2. 요건
3. 효과
4. 중복소송과 모순관계
5. 중복소송과 채권자 대위소송
(1)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9.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복제소의 범위를 통일적으로 이해하려는 것이 다수설이었으나, 근자에 중복제소의 범위를 소송물이 동일한 경우만이 아니라 그보다 넓히려는 시도가 있다.
2. 확대론
중복 소제기 금지원칙의 취지가 판결의 모순·저촉을 방지하자는데 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