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상의 동산소유권의 보호
1. 게르만-프랑크법상의 보호
(1) 본인의 의사에 의한 占有離脫
(2) 본인의 의사에 반한 占有喪失
2. 중세법상의 보호
(1) 動産追及訴訟의 확장
(2) 소유자의 返還請求權 행사의 제한
(3) 고유법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었으며 그 반사적 효과로서 습득자는 소유권을 취득하였다.
3. 중세법상의 동산소유권 보호제의 변천
고대에서 중세를 거치는 동안 점유상실의 원인에 따른 동산소유권보호제의 내용에는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산 소유권에서만 인정하고 있다. 부동산 소유권을 두텁게 보호하는 현행 민법에서는 주인 없는 토지에 대해서는 국유로 하고 있으므로(252조 2항) 게르만 법상에서 인정되는 무주물 선점으로 인한 부동산의 취득이 허용될 여지가 없다.
②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산의 경우에는 도품 및 유실물에 대한 특칙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도 있다. 김상용, 물권법, 법문사 2000, 230면
Ⅳ. 결론
위와 같이 게르만법상의 동산소유권 보호 제도와 현행민법상의 동산소유권 보호 제도는 서로간에 미세한 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산소유권의 양도에는 점유의 이전, 즉, 인도가 필요하다.
VII. 結論
위에서 언급한 우리 민법의 규정들을 살펴보면, 현행민법이 독일고유법상의 법적 요소와 로마법의 법적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로마법의 계수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