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재현. (2015). 한국어 음운론 연구. 서울: 삼성출판사.
박민수. (2018). 한국어 발음 교육론. 서울: 어학사. "목차:
서론
한국어 음운 동화의 이해
비음화의 개념과 사례
유음화의 개념과 사례
구개음화의 개념과 사례
결론
참고문헌
"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 변동으로는 평 파열음화, 비음동화, 유음화, /ㄹ/의 비음화, 구개음화, 된소리되기, 조음 위치 동화, / l /모음 역행 동화 등이 있다.
1.1 평 파열음화
가. 자료
ㄱ)/국/[국], /깍+고/[깍꼬], /낚시/[낙씨], /부엌/[부억], /부엌#안/[부어간], /키읔+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 변동
① 조음 위치에 따라: 전설음화(전방화), 후설음화(후방화), 양순음화, 치조음화, 경구개음화, 연구개음화, 성문음화
② 조음 방법에 따라 : 파열음화, 마찰음화, 파찰음화, 유음화, 비음화
③ 동화에 의한 변동 : 한 음소가 주변 음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개음화에 해당한다.
10. ‘앓는’은 ‘[알른]’으로 발음해야 한다.
11. 보기의 음운 변동 현상은 ‘구개음화’이다. 우산꽂이→[우산꼬지]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해당하는 낱말이다.
12. ‘굵(다)’는 [국ː따]로 발음해야 하고, ‘맑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당되는 예로는 ‘좋고 →〔조코〕, 많다 →〔만타〕, 잡히다 →〔자피다〕’ 등이 있으며, {ㅎ-, -ㅎ}은 예사소리(ㅂ,ㄷ,ㄱ,ㅈ)가 ‘ㅎ’음운과 결합할 때 순서에 상관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규칙은 필수적으로 일어난다.
▶규칙2(모
|
- 페이지 5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