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실을 알게 되고 이것을 이용하면 관의 마찰계수를 구할 수 있다.
3) 관이음에서의 부손실
- 배관시스템에는 관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부속품들이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칭하여 관이음이라고 한다. 이러한 관이음에는 밸브, 곡관, 수축관, 급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손실
a)입구손실수두() : 풋 밸브의 손실계수는 이므로
b)곡관의손실수두() : 90°의 elbow의 손실계수는 이다(2개)
c)출구손실수두() : 풋 밸브의 손실계수는 이므로
3)직관의 마찰손실수두
※ 물의 온도가 상온20°일 때
a)흡입관
이므로 흐름은 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3.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손실에서 차이가 났다. 우리가 곡관을 직관으로 변환해서 계산한 결과 압력차에 의한 수두손실은 0.43정도 나왔는데 손실계수를 고려한 부차손실로 계산했을 경우 약 0.512로 예상했던 결과치보다 많이 나왔다. 이 것은 앞에서 언급했던 조도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곡관
41.25
38.1
15.7
16.1
단위 : cm
- 분석
◎직관에서의 마찰압력(2조+3조)
2번과 3번으로 를 결정한다.(이론값)
1번과 4번의 수치로 를 결정한다.
○으로 가정
여기서 위에 구한 로 Re를 구하고,
마찰계수()를 Moody선도를 통해서 찾아,
손실압력()을 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10.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계수 : )
○밑의 표에서 보여지는 값과 비교해보면 레이놀즈수 18347.37에 대한
이론값 : 0.935
실험값 : 2.823
6. 오차분석 및 고찰
○오차
종류
비교방법
이론값
실험값
오차율(%)
직관
마찰계수 ()
0.023
0.0173
24.78%
90° 곡관
손실계수 (K)
1.225
0.506
58.6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