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판소리 용어
6. 장단
Ⅴ. 판소리의 내용
1. 춘향가
2. 심청가
3. 흥부가
4. 수궁가
5. 적벽가
Ⅵ. 여류 명창의 등장과 그 배경
Ⅶ. 박록주 명창의 소리인생
Ⅷ. 김정문 명창이 남긴 유성기 음반과 소리의 특징
Ⅸ. 판소리와 민화의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8.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숙이타령(왈자타령)
12. 가짜신선타령
Ⅳ. 판소리의 특성
Ⅴ. 판소리의 창본
1. 자료
2. 창본의 개성
3. 창본의 내용
Ⅵ. 판소리 채만식
Ⅶ. 판소리 작가 신재효
Ⅷ. 판소리 명창 안향련
Ⅸ. 판소리 명창 박록주
참고문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창으로 전남 동복 출신. 8명창의 한 사람이다. 서편제의 거장이다. 박유전의 직계로 설량이 거대하고 기법이 출중하여 나팔소리와 새소리는 실음 그대로를 방불케 한 것이 특생이다. 서편제 판소리유파에서 반드림제를 개발하였고 특장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창론에서 송만갑, 정정렬, 이동백을 통해 ‘연속변이선택’이라는 판소리 전승의 특성과 명창의 조건을 논한 바 있다. 그리고 유영대는 송만갑의 유성기 음반 사설을 해설하였고, 배연형은 유성기 음반을 통해 본 송만갑 소리의 특징을 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소리는 침제를 면치 못하게 되었고, 국가에서 무형문화재로 지정하면서 근근히 명맥을 유지하는 상황이 되고 말았다. 그렇다고 판소리가 화석화한 것은 아니며, 판소리를 지키고 부흥해야 하겠다는 사명감을 가진 여러 명창들의 눈물겨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