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협력」(서울: 프레지던트 호텔. 2001/4/13) 발표논문.
홍현익, 이대우 (2001).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주변 4강」, 세종연구소
박건영, 남창희, 이수형 (2002). 「미국의 동북아 동맹전략과 동맹의 안보딜레마,
그리고 한국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리고 중국의 평화적 이미지 제고
등과 같은 복합적 목표를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2005년 제4차 6자회담 공동성명을 통해 동북아 6게국
이 최초로 정부차원에서 다자안보협력에 대한 합일된 목소리를 냈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5.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축』, 성남: 세종연구소, 2002.
심지연김일영 편, 『한미동맹 50년 - 법적 쟁점과 미래의 전망』, 서울: 백산서당, 2004.
이상철, 『안보와 자주성의 딜레마 - 비대칭 동맹이론과 한미동맹』, 서울: 연경문화사, 2004.
전경만, 『21세기 한반도 안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보협력 기구에, APEC 및 유엔(UN) 산하 아·태 경제사회위원회(ESCAP) 등 정부 간 경제·사회 개발 협력 기구 등 다자간 안보협의체에 적극적이고 성실하게 참여하고, 적극 가담하면서 장기적 관점에서 동북아 국가들이 다자 안보 협력체제 형성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0.0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Ⅳ. 한반도평화체제 전환의 문제점
Ⅴ. 한반도평화체제구축의 기본 방향
Ⅵ. 한반도평화체제구축을 위한 해결과제
1. 평화협정 체결문제
2. 북한 미사일문제
3. 주한미군문제
4. 군사적 긴장완화와 군축문제
Ⅶ.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