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구문을 분석하고 構文解剖(구문해부)를 본격적으로 기술.
: 특징 교과서 p.220 예문 참조.
1) 形動詞
2) 動詞
3) 變體式(語形變化)
4) 文章法(句語部分)
5) 文章法(句語分析) 6.1.2 초기국어문법의 성립
♠ 이봉운의 「국문정리」(1897.1) :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연구사』, 전주대학교출판부
박태권(2002), 『국어학사 연구』, 세종출판사
최규수, 박이정(2005),『주시경 문법론과 그 뒤의 연구들』 Ⅰ. 머리말.......................................................p.1
Ⅱ. 서양인의 초기 한국어 연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화에는 어미, 조사, 접미사 등과 같이 완성되어 그 형태가 고정된 것도 있지만, 보조용언과 같이 아직 완성되지 않아 유동적이고 과정 중에 있는 것도 있다. 호광수, 2003,『국어 보조용언 구성 연구』, 역락, 317-318쪽
4. 맺는 말
우리는 지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경우 생성문법 도입 초기에는 평서문을 기본문으로 하여 각종 조사와 어미의 첨가를 기본으로 (ㄷ)처럼 긍정문을 부정문으로 바꿀 때 ‘아니, 안, 못’ 첨가하는 부정변형, (ㄹ)처럼 ‘이,히..’접사가 첨가되는 피동사동 변형,‘-께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문법론」, 집문당, 1997. Ⅰ 서론
Ⅱ 본론
1. 창제 배경
1) 시대 배경
2) 이론적 배경
2. 창제 동기
3. 훈민정음 창제의 반대론자
4. 최만리는 '역사의 죄인인가?
5. 훈민정음 창제의 의의
Ⅲ 결론
※ 참고 문헌
※ 중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