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문(기제사축문)의 사례3
饗향
謹근
以이
淸청
酌작
庶서
羞수
恭공
伸신
奠전
獻헌
尙상
顯현
高고
祖조
考고
또는
顯현
高고
祖조
비
諱휘
日일
復부
臨임
追추
遠원
感감
時시
不불
勝승
永영
慕모
顯현
高고
祖조
비
孺유
人인
密밀
陽양
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축문을 불사른다. 지방은 축관이 모셔 내온다. 신주일 때는 사당으로 모신다. 이로써 제사를 올리는 의식 절차는 모두 끝난다.
15) 철상(撤床)
철상은 제물을 치우는 절차는 말한다. 술잔에 남아 있는 모든 술을 술병에 넣어 봉하고, 음식은 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기제사 전날 아침 일찍부터 집의 안팎을 깨끗이 쓸며 닦고, 안에서는 제찬(祭饌)을 작만하고 밖에서는 제구(祭具)를 갖추고 당안을 청결히 청소하고 제주이하 여러 자손들이 각기 목욕하고 제복을 입고 축문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축문(祝文)
제사일을 하루로 하여 두 분의 위를 함께 모실 때
- 년간이란, 갑자 을축 등의 간지.
- 일간이란, 일력(매일 떼어내는 달력)에 기록된 그 날의 간지.
- 초하루 일간은 그 달 음력 초하루의 간지이다.
1) 고조부모(高祖父母)
유세차 (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축문
1. 태세
2. 삭일
3. 일진
4. 모관
5. 모공
6. 모봉
7. 모씨
8. 제주촌칭(祭主寸稱)
9. 제위(祭位)
10. 고사자성명(告祀者姓名)
11. 봉사자명(奉祀者名)
12. 감소고우(敢昭告于)
13. 애모불녕(哀慕不寧)
14. 주과용신건고(酒果用伸虔告)
15.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