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톡
SNS 메신저인 카카오톡은 게임연동산업을 주 수익모델로 발전시키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도입배경
1. 업계 1위인 사용자 수
2. 210억 원의 누적 적자
3. 게임사로부터의 투자
“게임하기” 시작
≪ 그 림 ≫
게
|
- 페이지 31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3.04.1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톡이 앱 자체의 유료화를 하지 않고 사용자들에게 광고 등의 거부감을 주지 않으면서도 돈을 벌 수 있는 길을 열어줌으로써 주된 수익모델을 찾아주었다. 이러한 전략적 제휴의 성공요인을 살펴보면, 애니팡이라는 게임을 통해 카카오톡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게임 사업부에 대해서는 카카오톡의 강력한 경쟁사인 네이버의 라인(LINE)이나 와츠앱(Whatsapp)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서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참고자료
최진아·김동원, “한국 온라인게임업체의 국제마케팅 전략에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4.09.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게임과 네이버라인의 결합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네이버는 국내 최대의 종합포털사이트로서의 입지는 굳건하나, 카카오톡과 마찬가지로 모바일게임시장의 경험이 전무하여 모바일게임 업체와의 전략적 제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21.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카카오톡과 네이버라인의 전략적 제휴의 성공사례에 힘입어 앞으로도 모바일 메신저와 모바일 게임의 결합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전망이다. 모바일메신저 서비스 기업은 앞으로도 모바일게임으로부터 지속적인 수익을 얻을 예정이며 이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