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이 발판을 잃은 반면, 아랍권의 진출이 두드러지게 된 것이다.
이상으로 연운보 전투와 탈라스 전투의 의미들을 비교해 보았다. 물론 연운보 전투와 탈라스 전투는 각각 승전과 패전이라는 큰 차이점이 있다. 그러나 두 전투 모두 역사적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4.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탈라스 전투에서 잡힌 당나라의 포로에 의해서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저자는 이 점에 대해서도 의심을 한다. 탈라스 전투 이전에도 이슬람 세계에 제지법이 알려져 있었으리라는 개연성은 얼마든지 있다는 것이다. 다른 지역과 접촉이 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 파피루스(Pairus)를 쓰고 있던 이슬람 제국과 그를 발판으로 서구에 전파되게 된 계기는 바로 고선지가 주도한 탈라스 전투였다. 2만명에 달하는 중국의 전쟁포로 가운데는 많은 기술자들이 있었는데, 그 중에는 제지기술자도 포함되어 있었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1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탈라스 전투.
서기 751년, 동진하던 이슬람제국의 30만 호라산군대와 중국의 고선지군이 중앙아시아와 실크로드의 패권을 두고 카자흐스탄공화국 탈라스평원에서 정면으로 맞붙었다. 세계전사에 중앙아시아의 운명을 결정한 대전투로 기록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3.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탈라스전투 와 제지술의 전파
탈라스전투는 751년 아랍의 지야드 이븐 살리히(Ziyad ibn Salih)장군이 이끄는 아랍, 티베트, 카를룩의 연합군과 고선지장군이 이끄는 당군과 위구르의 연합군이 오늘날의 카자흐스탄공화국에 위치하는 잠불(Jambul)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