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준 발음법에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가 왔을 때에 ‘’으로 발음하라고 되어 있지만 ‘’으로 발음하는 사람이 상당수 존재한다. ‘닭’, ‘통닭’과 같은 말도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왔을 때에 ‘’과 ‘’을 다 발음하게 되어 있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표준말)의 정의, 표준어(표준말)의 특징, 표준어(표준말)의 역사, 표준어(표준말)의 기준, 표준어(표준말)의 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와 한자어, 향후 표준어(표준말)의 정책 과제 분석
Ⅰ. 표준어(표준말)의 정의
Ⅱ. 표준어(표준말)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는 말이나, 북한에서는 문화어로 인정하는 말이다. 이러한 것은 물론 남한에도 있다. 이러한 사정은 지양해야 한다. 가시아버지 (장인), 소래(대야), 야시꼽다(아니꼽다), 허분하다(느슨하다)는 남한에서 방언으로 다루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 발음법”의 2부로 되어 있으며, “표준어 사정 원칙”은 3장 26항, “표준 발음법”은 7장 30항으로 되어 있다.
“표준어 사정 원칙”에서는 우선 표준어의 개념을 바꾸었다.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말씨
가정-방:문
[가‘정’방:문]
[가‘정방문]
가죽-가:방
[가‘죽’가:방]
[가‘죽가방]
건져-내:다
[‘건져’내:다]
[‘건져내다]
능소-능:대
[‘능소’능:대]
[‘능소능대]
여기서는 가정방문과 건져내다는 느린 말씨가 표준발음이고, 가죽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1.0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