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음화란 경음이 아닌 평장애음 ㅂ, ㄷ, ㄱ, ㅅ, ㅈ가 일정한 환경에서 경음인 ㅃ, ㄸ, ㄲ, ㅆ, ㅉ로 바뀌는 음운 현상이다. 장애음 뒤 경음화는 규칙 적용의 환경을 음운 정보만으로 기술할 수 있는 경음화인데 정해진 운율 단위 안에서 예외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글문헌의 연구가 한국어와 중국어 양 언어의 체계적 연구에 그 가치가 있음을 환기하고 있다.
고대국어에 대한 연구는 지명과 관계된 몇 편의 논문에서도 보인다. 권인한의 속지명과 국어음운사의 한 과제-대구와 달구화의 관계를 중심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자화라는 병리 현상을 완전하게 치유하기는 어렵다.
(2) 한글 표기 체계
세월이 흐르면서 한국어에도 음운 변화가 일어나고 각 음소의 변이음의 수와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한국어를 표기하는 한글도 적절한 시기에 철자법을 개정하지 않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8.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이를 ‘음절말 중화’라 한다.
(15) 가. /ㄱ, ㅋ, ㄲ/ → [ㄱ]
/박/ [박]
/밖/[박]
/부엌/[부억]
나. /ㄴ/ → [ㄴ]
산[산]
다. /ㄷ, ㅌ, ㅅ, ㅆ, ㅈ, ㅊ/ → [ㄷ]
/듣(다)/[듣(따)]
/끝/[ 1. 음운의 개념
2. 한국어의 모음과 자음
2. 한국어의 음절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때문이다.
한자는 아시아의 문자다. 한국은 정자, 중국은 간화자(간체자), 일본은 약자로 모양과 뜻이 다르다고 하는데, 모양은 교육용 한자만 알면 약간의 노력으로 알아볼 수 있고, 뜻이 서로 다른 글자의 비율은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