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혼저옵서 - 어서오세요
옵데강,혼저오십서.- 오셨습니까,어서오십시오.
왕 봥 갑서 - 와서 보고 가세요
혼저 혼저, 재게 재게 옵서 - 어서 어서, 빨리빨리 오세요
도르멍 도르멍 옵서 - 뛰면서 오세요
놀멍 놀멍 봅서 - 천천히 보세요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구획
북부방언(평안도방언, 함경도방언)/ 중부방언/ 남부방언( 전라도방언, 경상도방언)/ 제주도방언
7.1 음운 현상
7.1.1 성조(聲調)
·중세 국어 - 성조를 음소로 가지고 있었다. 어떤 음절이 고조/저조에 따라 단어의 뜻이 분화
운소(韻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것이 사정된 지 거의 반세기가 지나 언어 현실과 어긋나는 것이 있어서, 최근에 국어연구소 주관으로 표준어를 새로 사정하고 있다. 현대국어의 지역방언은 대체로 서북(평안도)방언·동북(함경도)방언·서남(전라도)방언·동남(경상도)방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7.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사투리, 지역어)
1. 제주 방언의 어미
1) 선어말 어미
2) 어말어미
3) 연결어미
4) 종결어미
2. 제주 방언의 격조사
1) 주격조사
2) 여격조사
3) 처격/방위격조사
4) 공동격조사
5) 비교격조사
6) 접속조사
7) 그 밖의 보조사들
Ⅴ. 경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1.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나그네(남편), 안깐(아내), 아재비/아주바이(아저씨), 아지미/아주마이(아주머니, 형수), 올찌세미(올케), 가스집(가시집, 처가), 1. 음운
2. 문법
3. 어휘
4. 육진방언
1) 육진의 의미와 특징
2) 음운론적 특성
3) 형태론적 특성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6.2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