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언구획은 학자에 따라 다소의 견해차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6개의 대방언권으로 나뉜다.
① 동북방언: 한국 북동부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함경남북도의 대부분의 지역을 포괄하 며, 함경도방언 또는 관북방언(關北方言)이라 불리기도 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휘 교육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일이다. 마지막으로는 옛말에서도 그 자취를 찾을 수 없고, 공통어에도 없는 특정 지역에서만 사용되는 어휘들을 가르치는 일도 지역언어 어휘 교육이 맡아 해야 할 일이다. 경상도 방언에는 지역에 따라 다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휘
다음으로는 지역 언어들 중에는, 옛말 중에서 공통어에는 없어졌으나 지역 언어에서만 살아남아 있는 어휘들이 있다. 예컨대, 15세기에 널리 쓰이던 ‘다(,偕)’라는 어형은 경상도 방언에서는 아직도 ‘ Ⅰ. 서론
Ⅱ. 지역어(사투
지역어 방언, 사투리 지역언어, 지역어(사투리, 방언) 정의, 지역어(사투리, 방언) 가치, 지역어(사투리, 방언) 연구, 지역어(사투리, 방언),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 속에는 중세 국어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어, 국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만들다’의 고형은 ‘다’인데, 경상도 방언에서 ‘맹글다’로 나타나며, ‘잔치’ 역시 ‘잔채’로 나타나는 등 옛말에서 쓰이던 어휘가 그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
2. 방언과 사투리, 그리고 표준어
3. 한국의 방언권
4. 경기도 방언
5. 강원도 방언
6. 충청도 방언
7. 전라도 방언
8. 경상도 방언
9. 제주도 방언
10. 황해도 방언
11. 평안도 방언
12. 함경도 방언
13. 사회방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